-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8/08/17 17:09
반면 조선은 총포의 개량보다는 궁시에 의존하였고 창과 칼을 이용한 단병접전에서는 왜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루이스 프로이스의 기록에는 부산진성과 동래성에서 조선의 총통을 많이 보았다고 했지만 그림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화살에 맞아 쓰러지는 왜군과 도끼로 성문을 부수려는 왜군이 역동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당시 왜군은 다년간의 전쟁경험으로 단련되어 ...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8/08/10 13:39
▶부산진순절도에 대한 개요 바로가기부산진순절도는 동래부순절도와 함께 육군박물관에서 부산시립박물관으로 대여 전시되어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여기서는 이 그림을 한장면씩 잘라서 보려한다. 부산진성으로 몰려드는 왜군의 배는 너무나 단순하게 그려져 당시 왜선의 특색을 알수가 없다. 단지 그 수의 많음을 표현하려는데 주안점을 두었을 뿐이다. 부산진성의 병력은 6백...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