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 이순신 요약보기전체보기목록닫기
- 전쟁영화라는 관점으로 본 '명량'(2)2014.08.04
- 임진왜란 이야기 - 26 이순신 자살설의 배경(2)(0)2007.09.09
- 임진왜란 이야기 - 25 이순신 자살설의 배경(1)(0)2007.09.02
- 임진왜란 이야기 - 22 거북선은 철갑선? (1)(0)2007.08.12
- 임진왜란 이야기 - 21 이순신과 원균(3)(4)2007.08.05
- 임진왜란 이야기 - 20 이순신과 원균(2)(2)2007.07.29
- 임진왜란 이야기 - 19 이순신과 원균(1)(0)2007.07.22
1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14/08/04 22:54
'명량'을 본 후 큰 재미와 감동을 느꼈거나 또는 기대보다 못하다는 평을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명량을 극적인 구성, 연기자들의 연기, 각종 잘못된 고증을 논하며 다루는 글들도 많이 보인다. 여기서는 '명량'을 '전쟁영화'로서는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로 다뤄보려 한다. 1. 역사적 사실에 앞선 극적 재미'명량'은 큰 맥락에서는 역사적인 사실을 다루고...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9/09 12:35
-천자총통전쟁영웅의 야심은 처음부터 펼쳐지기 보다는 그 전공으로 대중의 신임을 얻었을 때 서서히 드러날 수도 있는 것이다. 임진왜란 당시 체제밖의 의병장이었던 김덕령은 조선조정으로서는 분명히 '양날의 검'이었을 것이다. 이런 김덕령을 존경해 왔던 이민서는 체제순응적 이었지만 조정에 의해 핍박도 많이 받았던 이순신 장군을 두고도 김덕령과 같은 맥락으로 보...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9/02 11:10
신기전(神機箭)이미 많은 책이나 역사다큐에서 '이순신 자살설' 에 대해 다룬 것을 살펴 보면 그 시작은 조선시대의 문신 이민서가 지은 김덕령 장군 전기 중 '이순신은 한참 싸울 적에 갑옷을 벗고 스스로 적탄에 맞아 죽었다.'란 대목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15년 뒤에 이순신 장군의 묘지가 이장된 것으로 본 '이순신 은둔설'까지 흥미진진한 대목들이 많다. ...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8/12 12:04
거북선에 대해서는 이순신 장군을 신격화시켰던 박정희 정권시절 '이순신장군이 발명했다.'는 얘기가 우세하였다. 하지만 태종 때부터 거북선에 대한 기록이 있다는 점이 뒤늦게 부각되자 이순신은 이를 개량 발전시킨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우세해지기 시작했다. 심지어 일부에서는 이순신 휘하의 군관 나대용이 거북선 개량의 장본인이라는 설이 대두되기도 했다. 그러다...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8/05 12:37
이러한 전력의 차이라면 무기와 함선의 우수함이 있다고 해도 오히려 수비에 치중해야함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조정에서는 이순신때와 마찬가지로 연이은 수군의 승전보에 자만한 나머지 무조건 공격만을 요구했고 그로인해 원균은 권율에게 곤장까지 맞는 모욕을 당해야 했던 것이다.칠천량 해전은 해전이라고 부를수도 없는 싸움이었다. 악천후에 지치고 약간의 함선손실...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7/29 11:04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얼마 전 조선 조정에서는 수군을 없애고 모두 육군으로 편입하고자 하는 계획을 짜게 된다. 그러나 이 계획은 다행이도 온전히 실현되지는 못하는데, 선조수정실록 25년 4월14일 기사를 보면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해도(海道)의 주사(舟師)를 없애고 장사(將士)들은 육지에 올라와 전수하도록 명하였는데, 전라 수사 이순신(李舜臣)이 ...
- 임진왜란이야기+역사이야기
- 2007/07/22 09:50
예전부터 제기 되어온 의문이지만 '이순신은 충신, 원균은 간신'이라는 공식은 과연 옳은 것일까?이재균씨가 지은 '원균을 위한 변명'에서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담긴 원균의 모습이 다른 것에 초점을 두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선조실록에서는 '이기고 싸운 공은 이순신과 같은데 그의 공을 오히려 이순신이 가로챘다.'는 말까지 하고 원균을 1등 공...
1